불교 (1) 썸네일형 리스트형 승복과 한자 1. 다음 문장을 읽고 아래 문제에 답하시오. "일심이문의 논리는 ‘개합자재開 合自在 입파무애立破無碍’(無所不立 無所不破)이다." "원효는 개합자재의 논리적 근거를 '입이부득立而不得'과 '파이무실破而無失'에 두었는데, 여기서 입이부득은 바로 '무불립이자견無不立而自遣'이다." 문제: 위 문장은 한국어인가? 2. 불교에 대해 아는 바 거의 없는 나 같은 사람이 불교 관련 자료를 찾아본다면, 평생 듣도 보도 못한 한자어 개념들에 적잖이 당황스러울 것이다. "경은 진속眞俗이 쌍민雙泯함이요, 지는 본시本始의 양각兩覺이다. 쌍민하나 불멸이고 양각이나 무생無生이다." 이 구절에 대한 해설로 다음과 같은 문장이 등장한다. "진속쌍민眞俗雙泯은 곧 진속구공眞俗俱空, 즉 비진비속무변부중지중도非眞非俗無邊不中之中道를 의미이며,.. 이전 1 다음